"다정했던 분인데" 갑자기 욱한뒤 무기력…'치매' 의심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5-04-25 13:52본문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치매는 뇌세포의 퇴화가 진행되며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으로 평소와 다른 성격, 행동 변화 등으로 초기 증상을 확인할 수 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표적인 치매로 인한 성격 변화로 의심 많아지거나 예민하고 공격적이 되는 경우, 우울하거나 무기력이 나타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평소와 달리 우유부단해지거나 이상한 고집을 부리는 등의 변화도 치매로 나타날 수 있는 성격변화다. 아울러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거나 참을성이 줄어들며 비논리적이지만 고집을 부리며 말을 듣지 않곤 한다. 또한 즐기던 활동에 흥미를 잃고 감정 표현이 줄어든다.
이러한 변화는 갑자기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된다. 평소의 성격과 다르다는 것을 가족이 먼저 느끼기도 하며 때로는 우울증이나 성격 문제로 오인되기도 한다. 성격 변화가 관찰된다면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인지기능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기억력 저하와 동반될 경우 경도인지장애(MCI)나 초기 치매의 징후일 수 있다.
세란병원 신경과 이한상 과장은 "우울증과 치매 초기의 성격 변화는 매우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어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라며 "특히 노인 우울증은 인지 저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매로 오해되기 쉽다. 실무에서는 노인 우울척도,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등을 통해 우울증과 인지기능을 감별한다"고 설명했다.
우울증은 감정을 중심으로 슬픔과 자책, 무기력, 흥미 상실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반면 치매 초기에는 인지와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의심과 고집,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우울증은 감정이 위축되고 자기 비하, 슬픔을 호소하지만 치매 초기에는 온화하던 사람이 공격적으로 변화하는 등 성격이 변화한다.
이 과장은 "성격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나면 전문의의 평가를 받는 것이 좋으며, 평소와 다른 행동과 감정 기복이 지속된다면 치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치매 초기에는 약물 처방과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최근에는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신약이 출시돼 선택지가 넓어졌다"라고 말했다.
치매는 경도인지장애(MCI) 단계에서 발견 시 생활습관 개선, 치료로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 과장은 "약물 치료도 초기일수록 효과가 더 좋다"며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 인지기능검사로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치료제를 고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표적인 치매로 인한 성격 변화로 의심 많아지거나 예민하고 공격적이 되는 경우, 우울하거나 무기력이 나타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평소와 달리 우유부단해지거나 이상한 고집을 부리는 등의 변화도 치매로 나타날 수 있는 성격변화다. 아울러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거나 참을성이 줄어들며 비논리적이지만 고집을 부리며 말을 듣지 않곤 한다. 또한 즐기던 활동에 흥미를 잃고 감정 표현이 줄어든다.
이러한 변화는 갑자기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된다. 평소의 성격과 다르다는 것을 가족이 먼저 느끼기도 하며 때로는 우울증이나 성격 문제로 오인되기도 한다. 성격 변화가 관찰된다면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인지기능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기억력 저하와 동반될 경우 경도인지장애(MCI)나 초기 치매의 징후일 수 있다.
세란병원 신경과 이한상 과장은 "우울증과 치매 초기의 성격 변화는 매우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어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라며 "특히 노인 우울증은 인지 저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매로 오해되기 쉽다. 실무에서는 노인 우울척도,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등을 통해 우울증과 인지기능을 감별한다"고 설명했다.
우울증은 감정을 중심으로 슬픔과 자책, 무기력, 흥미 상실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반면 치매 초기에는 인지와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의심과 고집,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우울증은 감정이 위축되고 자기 비하, 슬픔을 호소하지만 치매 초기에는 온화하던 사람이 공격적으로 변화하는 등 성격이 변화한다.
이 과장은 "성격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나면 전문의의 평가를 받는 것이 좋으며, 평소와 다른 행동과 감정 기복이 지속된다면 치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치매 초기에는 약물 처방과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최근에는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신약이 출시돼 선택지가 넓어졌다"라고 말했다.
치매는 경도인지장애(MCI) 단계에서 발견 시 생활습관 개선, 치료로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 과장은 "약물 치료도 초기일수록 효과가 더 좋다"며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 인지기능검사로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치료제를 고려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 이전글"왜 이렇게 화를 내" 50대 되더니 유난히 짜증이…'치매' 위험 신호? 25.04.25
- 다음글‘이 영양소’ 부족하면 나이 들어 인지 장애 위험 커져 25.04.11